치매 환자에게 식사 시간은 일상적인 도전 과제가 될 수 있지만, 그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식사 관련 어려움
영양은 성장과 건강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로, 치매 환자에게도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인지 기능이 저하되면 음식 찾기, 씹기, 삼키기와 같은 기본적인 식사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식사 시간 동안 음식을 거부하거나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는 등의 행동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영양 부족, 체중 감소, 탈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식사 시간 어려움 줄이기
요양원에서는 직접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직원들이 식사 지원을 담당하며, 환자가 적극적으로 식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식사 시간의 어려움을 줄이면 환자의 식사량이 증가하고, 이는 영양 상태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를 위한 환자 중심 돌봄
치매 환자는 순간순간을 살아가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환자 중심(person-centered) 접근법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합니다. 환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존중하며, 개별성을 고려한 돌봄이 중요합니다.
환자와 보호자는 파트너로서 협력해야 하며, 단순히 환자를 돌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존엄성과 신뢰를 유지하고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비디오 관찰을 통한 행동 연구
치매 환자의 행동을 연구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비디오 관찰입니다. 비디오를 통해 연구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행동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필요할 때마다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연구자가 환자의 행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환자와 돌봄 제공자 간의 상호작용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만, 연구에 참여하는 환자가 직접 동의할 수 없는 경우, 법적 대리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식사 시간의 상호작용 분석
연구자 Andrea Gilmore-Bykovskyi는 요양원에서 거주하는 치매 환자와 돌봄 제공자의 식사 시간 동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습니다. 연구팀은 환자 중심 행동과 작업 중심 행동을 측정하는 코딩 체계를 개발하여, 이들의 행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연구를 위해 모든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정리하고, 코딩 체계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평가한 후, 네 명의 훈련된 관찰자가 The Observer XT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습니다.
비디오 데이터를 체계적인 정보로 변환
Liu 연구팀은 비디오 관찰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 코딩 체계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합니다. 연구팀은 요양원 직원과 치매 환자가 식사 시간 동안 보이는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으며, 개인적 특성이 이러한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습니다.
연구진은 9개 요양원에서 25명의 치매 환자와 29명의 직원(총 42개의 고유한 직원-환자 쌍)이 참여한 110개의 비디오 영상을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치매 식사 시간 비디오 코딩 체계(Cue Utilization and Engagement in Dementia Mealtime Video-Coding Scheme)'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행동 증상의 원인 분석
Gilmore-Bykovskyi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들의 행동 중 95%가 환자 중심적(person-centered)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들이 주로 활용한 행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방향 안내 및 관심 표현
- 선택권 제공 및 반응 유도
- 환자의 속도에 맞춘 상호작용
- 편안함을 평가하는 행동
이 연구는 환자 중심적 돌봄이 행동 증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유용한 코딩 기법을 제공하며, 치매 환자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식사 시간 참여에 미치는 영향
Liu 연구팀의 연구 결과, 비언어적 행동은 요양원 직원과 치매 환자 간의 식사 시간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환자의 인지 및 신체적 능력이 직원의 신호에 대한 반응성과 참여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직원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제스처, 얼굴 표정, 신체 접촉 등)도 환자의 식사 참여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치매 환자의 긍정적인 식사 경험을 유도하고, 돌봄 전략을 개선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임을 시사합니다.
요양원에서의 치매 환자 돌봄은 단순한 신체적 지원을 넘어, 정서적 교류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포함해야 합니다. 특히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환자의 식사 참여도를 높이고, 행동 증상을 줄이며, 궁극적으로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요양원에서의 돌봄 방식이 더욱 개선되길 기대해 봅니다.
원본
https://www.noldus.com/blog/research-area/human-behavior-research
References
1.Gilmore-Bykovski, A.L. (2015). Caregiver person-centeredness and behavioral symptoms during mealtime interactions: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a coding scheme. Geriatric Nursing, (36).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15.02.018
2.Gilmore-Bykovski, A.L., Roberts, T.J., Bowers, B.J. & Brown, R.L. (2015). Caregiver Person-Centeredness and Behavioral Symptoms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A Timed-Event Sequential Analysis. Gerontologist, (55). https://doi.org/10.1093/geront/gnu164
3.Liu, W.; Perkhounkova, Y.; Williams, K.; Batchelor, M. & Hein, M. (2022). Mealtime nonverbal behaviors in nursing home staff and residents with dementia: Behavioral analyses of videotaped observations. Geriatric Nursing, (44), 112-124.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22.01.009
'행동관찰분석 > 적용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Eye Tracking(시선추적)시, FaceReader를 통한 감정 분석 방법 (0) | 2023.10.12 |
---|---|
카페에 온 손님을 만족시키는 방법 - 2편: 표정분석 (0) | 2021.04.27 |
CCTV 카메라로 얼굴 표정 인식이 가능할까? (0) | 2021.04.02 |
향기에 의한 표정 변화 분석 (0) | 2020.11.17 |
밀키트(Meal kit) 상품 조리 행동 분석 (0) | 2020.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