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는 텍스트 자극물의 시선추적 실험에서 시선의 흐름과 양상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전 게시물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십시오.
글 읽기 과정 파악이 가능할까? - 1편: 시선 흐름
최근 들어 수능의 국어 영역이나 행정고시와 같은 국가 시험에서 국어 과목이 변별력을 높이자 수험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국어 영역의 비문학 지문들 같은 경우는 지문의 길이도 길
eyetracking.co.kr
이번 시간에는 텍스트를 읽는 동안 발생한 시선 데이터를를 살펴보겠습니다.
글을 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선의 움직임 중 순행(글 순서대로 시선이 이동, 좌에서 우)과 역행(이전 방향으로 시선이 이동, 우에서 좌)의 비율을 살펴봄으로써 해당 문단이나 문장에 대한 학생 별 이해 정도를 파악하거나, 지문의 난이도를 예측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문장이 복잡하고 단어가 어려워 읽은 후에도 그 문장이 잘 이해가 되지 않을 때 우리는 해당 문장을 다시 읽거나 특정 단어로 돌아가 다시 읽기 시작합니다.
이때 발생하는 시선의 역행의 횟수를 파악하여 텍스트 별 난이도 비교가 가능합니다.
텍스트 별로 비교하였을 때, 역행의 횟수가 많은 지문일수록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지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실험에서 두 지문의 순행, 역행 수는 어떤 차이가 있었을까요?
먼저 첫 번째 지문의 순행, 역행 수 그래프입니다.
첫 번째 지문의 순행은 총 180회, 역행은 총 141회 발생하였으며 두 번째 지문의 순행은 총 264회, 역행은 총 166회 발생하였습니다.
두 지문은 시와 비문학이라는 글 형식에서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역행 횟수만 가지고 난이도를 비교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발생한 전체 시선의 도약(Saccade) 수에서 역행 횟수의 비율을 살펴보면,
역행이 43.9% 발생하였으며 두 번째 지문은 38.6% 발생하였습니다.
함축적이고 비유적인 표현이 많은 첫 번째 지문에서 좀 더 많은 역행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에 사후 인터뷰나 문제 풀이 결과 등에 따라 해당 문장이 피험자에게 미쳤던 영향 등을 알 수 있으며, 이를 객관적인 증거나 피드백 자료로 활용하여 학생 또는 고객에게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비교들은 시선추적 데이터를 통해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문제 자체의 난이도 조절이나 학생들의 읽기능력 평가가 동시에 가능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학생들이 해당 문제를 어려워하는 직접적인 요인을 찾을 수 있으며 잘못된 읽기 습관을 가진 학생들에게 교정 방향을 제시해 줄 수도 있는 가이드가 될 것입니다.
본 게시물 내용보다 자세한 실험 환경과 분석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내용은 네이버 카페 '베리슨과 연구하는 사람들'과 베리슨에서 진행하는 시선추적 리서치 세미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베리슨 랩(Varison Lab.)에서는 '행동관찰분석' 및 '시선추적 측정' 대행 및 리서치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술 논문을 위한 실험 대행과 제품 &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 공공기관에서 공공 시설물에 대한 안전 디자인 평가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실험 대행 및 리서치 서비스가 필요하신 분은 문의 주시면 성심껏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아이트래킹(시선추적) > 적용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및 사용성 테스트 측정 장비 추천 (6) | 2024.09.10 |
---|---|
Usability와 User Experience(UX) (0) | 2023.10.19 |
글 읽기 과정 파악이 가능할까? - 1편: 시선 흐름 (0) | 2021.09.01 |
편의점 PB상품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소비자 평가 - 1편: 시선 흐름 (0) | 2021.07.23 |
사이버 모델하우스를 방문하는 예비 청약자의 시선 분석 (0)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