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트래킹(시선추적)/적용분야

글 읽기 과정 파악이 가능할까? - 1편: 시선 흐름

베리슨 2021. 9. 1. 13:20

최근 들어 수능의 국어 영역이나 행정고시와 같은 국가 시험에서 국어 과목이 변별력을 높이자 수험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국어 영역의 비문학 지문들 같은 경우는 지문의 길이도 길고, 난이도도 높게 출제되는 경향이 있어 교육계에서는 기본적인 읽기능력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간에 독해력과 같은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이를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글 읽는 연습이나 독해 방법을 배우지만 실제로 해당 교육이나 학습 방법을 제대로 실천하는지 아는 것은 어렵습니다.

또한 읽기 과정에서 드러나는 근본적인 문제나 습관 등을 찾아내는 것 역시 파악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선추적을 활용한다면 학생 또는 수험생의 읽기 과정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선추적을 통해 읽기 과정을 분석하면, 지문을 구성하는 문단(Paragraph), 문장(Sentence), 단어(Word), 글자(Character) 별로 시선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선추적으로 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정확도와 정밀도가 필요합니다.

 

단순히 해당 영역 전체를 보았는지 보지 않았는지를 파악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영역 내 정확한 위치에 시선 데이터가 기록되어야 하며 이는 실험 전 충분히 확인되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모바일에 탑재된 카메라나 웹 카메라에 의해 측정된 시선데이터는 이렇게 정확하고 정밀한 데이터가 필요한 실험에서 특히 신뢰도를 얻기 어렵습니다.

 

이번 실험에 사용한 모니터형 시선추적기 LogicOne은 이러한 정확도와 정밀도가 눈으로 확인 가능하며, 자극물의 특정 요소에 대한 데이터까지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합니다.

 

LogicOne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보고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십시오.

 

시선추적기 LogicOne 소개 및 특장점 : Accuracy & Precision 편

2019년 12월 EyeLogic社(Germany)에서 출시한 모니터 고정형 시선추적기인 LogicOne에 대한 소개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우선 EyeLogic社에 대해 생소하실 텐데요. EyeLogic社는 2017년 애플이 인수한 SensoMo

eyetracking.co.kr

 

이번에 베리슨에서는 수능 국어영역 문제를 자극물로 활용하여 시선추적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난이도와 글 성격을 비교해보기 위해 2개의 문제를 아래와 같이 자극물로 제시하였습니다.

 

텍스트 자극물

 

첫 번째로, 수능 국어 영역 문제 중 문학 작품과 그 문제의 시선흐름을 보여줍니다. 

 

첫 번째 지문: 문학 작품

 

해당 지문에 발생한 시선을 살펴보면,

문학작품 중에서도 시 특성 상 짧은 문장 길이와 함축적인 단어로 인해 특정 단어에 시선이 계속해서 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원의 크기가 클수록 시선이 오래 머물렀음을 의미하는데, 특정 단어들에서 원의 크기가 비교적 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지문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해 문제와 지문을 반복적으로 번갈아보는 양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이미지에서 지문과 문항 사이에 발생한 시선 도약(Saccade)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수능 국어 영역 문제 중  비문학 지문의 일부와 해당 문제의 시선 흐름도 입니다.

 

두 번째 지문: 비문학

 

 

지문의 길이가 비교적 긴 편의 비문학은 시선 도약의 길이가 길고,

비교적 문제와 지문사이에 발생한 시선의 도약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문을 읽은 뒤 특정 문제 번호(④, ⑤)에서 시선의 고정과 집중이 지속적으로 발생한 부분이 보이며, 해당 피험자는 이 중에서 답을 선택하였습니다.(⑤)

 

글을 읽는 사람마다 각자의 방법과 습관이 있으므로 이처럼 시선흐름도를 통해 해당 피험자의 읽기 패턴이나 습관 등을 파악하고

문제점 개선에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이 가능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텍스트 자극물로 시선추적 실험을 진행하였을 때 시선흐름도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게시물에서는 시선추적을 통해 알 수 있는 읽기 과정의 분석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글 읽기 과정 파악이 가능할까? - 2편: 순행과 역행

지난 시간에는 텍스트 자극물의 시선추적 실험에서 시선의 흐름과 양상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전 게시물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십시오. 아이트래킹(시선추적) 사례:

eyetracking.co.kr

 

참고자료

https://www.yna.co.kr/view/AKR20200617097600848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91880 

http://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3249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85545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2012031134619454&ext=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