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트래킹(시선추적) 57

한국인과 외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읽기 과정 중 도약과 회귀 비교

한국인과 외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읽기과정 중 시선 고정, 도약, 회귀의 차이를 아이트래커를 사용하여 객관적으로 측정, 비교하기 위한 연구입니다. 한국인은 도약 횟수, 회귀 횟수가 외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한국인이 외국인보다 더 쉽게 이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습자의 읽기 과정 중 발생하는 시선 데이터를 측정, 분석함으로써 학습 자료(컨텐츠)의 난이도 측정 및 학습자의 이해도를 단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독해 능력을 발전, 향상시키는데 응용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패션 잡지 광고의 주의에 관한 연구

온라인상에서 적합한 광고 레이아웃 유형을 규명하기 위해 온라인 패션 잡지광고를 레이아웃 유형에 차이를 제시하여 광고 효과를 측정하고자 합니다. 연구 결과 잡지 내 제시되는 레이아웃 유형과 레이아웃 유사 유형 그룹에 따라 시각적 주의, 광고 회상, 광고 재인,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을 확인합니다. 이로부터 기업은 소비자의 기억 구조와 일치하는 광고 레이아웃 유형을 제시하여 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소비자를 설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은 물론 실제 광고 전략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서울시 자치구 민원 서비스와 민원실에 대한 사용자 중심적 구성 방안 연구

기존 설문 및 인터뷰와 같은 정성적 조사 방식은 해석의 오류라는 한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고자 아이트래킹 기법을 적용하여 민원서비스를 이용하는 공간인 민원실을 대상으로 사용자 중심적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과 서비스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합니다. 본 아이트래킹 측정을 통해 네 곳의 구청 민원실에서 이용 절차 단계별로 장단점을 파악하여 사용자 중심적 민원실 개선 방향을 모색합니다.

공항 안내 키오스크 사용성(Usability) 평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외래관광객 수(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수)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래관광객은 2015년, 2017년도에 잠시 주춤한 것을 제외하고 2010년 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인천공항 내에서는 공항 내 시설 정보와 위치, 길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를 공항 곳곳에 비치하여 외래관광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포스트는 공항 내 비치된 안내 키오스크를 대상으로 사용자(=외래관광객)의 시선을 측정하여 키오스크의 정보 전달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입니다. 사용 장비 SMI Eye Tracking Glasses 2 Wireless : 안경 방식의 아이트래커를 착용하여 사용자의 눈 움직임 측정 SMI BeG..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Web Usability)

기업체, 연구기관, 대학교 관계자들은 메뉴, 컨텐츠, 이미지, 동영상, 하이퍼링크, 검색창 등 다양한 요소를 사용하여 자신들의 웹사이트(website)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자신들이 제공하는 재화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웹 사용성 평가(Web Usability)는 웹사이트 방문자(혹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측정, 평가하는 것으로 웹사이트의 안내된 정보가 방문자들에게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되는지, 불편한 점은 없는지, 불편한 점이 있다면 어느 요소가 불편함을 야기하는지, 그리고 오류 요소는 없는지 등을 확인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됩니다. 본 포스트는 시선추적 기술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방문자의 정보 탐색 과정을 측정, 평가한 리서치 사례 입니다. 진행 과정..

가상현실 아이트래킹 소개 및 데모

사용자의 시선을 측정, 추적하는 방법으로 전통적으로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아이트래킹 디바이스를 부착하는 방식과 안경, 고글과 같이 디바이스를 직접 착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전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웹사이트 등을 제시하고 이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시선을 측정하며, 후자는 실제 물체, 우리 주변 환경 등을 대상으로 진행합니다. 그 밖에도 fMRI 환경에서 시선을 측정하는 MRI compatible 아이트래커가 있습니다만, 이는 특정 환경과 특정 목적으로 사용되기에 일반적으로 시선 측정을 진행하는 것과는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2~3년 전부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분야가 떠오르면서 가상현실에서 시선측정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를 위해 HMD(Head Mo..

초등과학 교과서의 편집디자인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감성 평가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편집디자인에 따른 학생들의 감성을 측정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리서치 진행은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실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익숙한 현장 즉, 실제 학생들이 공부하는 교실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측정을 위한 전용 공간(랩)에서 진행하게 되면 실험과정 및 데이터 취득면에서는 편리하지만, 실험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느끼는 불편함과 긴장감이 측정 결과에 반영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하기 위해 현장(on-site)에서 실험을 진행합니다. 실험에 사용된 기기는 SMI 포터블 시선추적기인 REDn Scientific, 실험이 진행되는 상황을 카메라 2대로 연동하여 녹화할 수 있는 Media Recorder, 실험 참가하는 학생들의 얼굴 표정을 기록, 분석하는 FaceReader를..